반응형
인턴 기간
2020 / 7 / 3 (금) ~ 2020 / 8 / 28 (금)
근무 일수 : 40일
Docker
image, container, docker-compose에 대한 내용들을 알 수 있었음
Docker 컨테이너들을 Kubernetes를 이용해 오케스트레이션하기
Docker를 이용한 Jenkins Image pull & run
Docker를 이용한 MariaDB Image pull & run
Docker를 이용한 Nexus Image pull & run
Docker를 이용한 Tomcat Image pull & run
Docker-compose로 여러 개의 서비스 구동하기
Kubernetes 기초
쿠버네티스에 대한 이해를 위해 공식문서를 읽어봄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개요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클러스터 아키텍처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파드(Pod)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레플리카셋(ReplicaSet)
1차 발표(7월 15일)
쿠버네티스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발표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정현수).pptx
4.17MB
2차 발표 준비
1차 발표때 받은 피드백을 위주로 조사
쿠버네티스 Deployment와 ReplicaSet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YAML파일 Selector는 무엇을 가리킬까?
쿠버네티스 서비스(service)의 노드포트(NodePort)의 포트가 겹쳤을 때 어떻게 될까?
쿠버네티스 노드와 마스터 서버에 대해서(kubelet, kubeadm)
쿠버네티스 minikube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나오는 kubelet, apiserver,kubeconfig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볼륨(volume)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apiVersion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YAML 파일 작성 시 실행 순서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kubectl get all" 명령어에 나오는 모든 것들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스케줄러 : 노드(node)에 파드(pod)의 배치 방법
쿠버네티스 레플리카셋(replicaset)의 실패 복구(failover)와 proxy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네트워킹(networking)과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에 대해서
쿠버네티스 podSpec의 호스트(host)에 대해서
2차 발표 (7월 22일)
1차때 받은 피드백들을 조사해서 발표
두번째 세미나 최종본.odp
2.39MB
Minikube가 아닌 실제 Kubernetes를 설치해서 애플리케이션 구동하기
애플리케이션 준비
Mysql Docker Image를 이용해서 React-Node.js-MySQL 애플리케이션 구현해보기
React와 Node.js 애플리케이션 Docker image build하기
3차 발표(7월 29일)
일주일 간 진척도에 대해서 간단히 발표
세번째 발표(진척도 평가).odp
1.64MB
Kubernetes 설치 : Kubespray, ansible 활용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1편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2편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3편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4편
4차 발표(8월 7일)
진행 상황에 대해서 간단히 발표
회사에서 준 책 읽기
[O'REILLY] 쿠버네티스 패턴 (Kuerbernetes Patterns)
Kubernetes 고가용성 테스트하기
테스트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준비
[Kubernetes 공식문서 파헤치기] Redis를 사용한 PHP 방명록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 PV, PVC, Affinity 사용해보기
고가용성 테스트
[Kubernetes 공식문서 파헤치기] 고가용성 테스트(pod 부하분산, auto scaler 적용하기)
Kubernetes 한 걸음 더
[Kubernetes]쿠버네티스 컨트리뷰터 되기 : 쿠버네티스 문서에 기여하기
[Kubernetes]쿠버네티스 설치부터 배포까지(kubespray 이용)
[Amazon] EC2 인스턴스에 S3 스토리지 마운트하기
8월 28일 금요일 수료
반응형
'회고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을 보내고 2022년을 맞이하면서 (0) | 2022.01.08 |
---|---|
2021년 계획 (10) | 2020.12.29 |
2020년을 보내고 2021년을 맞이하면서 (2) | 2020.12.29 |
2020년까지 했던 프로젝트들 (6) | 2020.07.22 |
- Docker 컨테이너들을 Kubernetes를 이용해 오케스트레이션하기
- Docker를 이용한 Jenkins Image pull & run
- Docker를 이용한 MariaDB Image pull & run
- Docker를 이용한 Nexus Image pull & run
- Docker를 이용한 Tomcat Image pull & run
- Docker-compose로 여러 개의 서비스 구동하기
-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개요
-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클러스터 아키텍처
-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파드(Pod)
-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레플리카셋(ReplicaSet)
- 쿠버네티스 Deployment와 ReplicaSet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YAML파일 Selector는 무엇을 가리킬까?
- 쿠버네티스 서비스(service)의 노드포트(NodePort)의 포트가 겹쳤을 때 어떻게 될까?
- 쿠버네티스 노드와 마스터 서버에 대해서(kubelet, kubeadm)
- 쿠버네티스 minikube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나오는 kubelet, apiserver,kubeconfig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볼륨(volume)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apiVersion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YAML 파일 작성 시 실행 순서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kubectl get all" 명령어에 나오는 모든 것들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스케줄러 : 노드(node)에 파드(pod)의 배치 방법
- 쿠버네티스 레플리카셋(replicaset)의 실패 복구(failover)와 proxy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네트워킹(networking)과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에 대해서
- 쿠버네티스 podSpec의 호스트(host)에 대해서
-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1편
-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2편
-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3편
- Kubespray와 Ansible을 이용한 Kubernetes 설치하기 - 4편
- [O'REILLY] 쿠버네티스 패턴 (Kuerbernetes Patterns)
- [Kubernetes 공식문서 파헤치기] Redis를 사용한 PHP 방명록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 PV, PVC, Affinity 사용해보기
- [Kubernetes 공식문서 파헤치기] 고가용성 테스트(pod 부하분산, auto scaler 적용하기)
- Kubernetes 한 걸음 더
- 8월 28일 금요일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