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Jenkins에 대한 이해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
빌드, 테스트, 배포등의 작업들을 자동화 해주는 툴
다수의 개발자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버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 작업한 내용을 공유 영역에 있는 Git등의 저장소에 빈번히 업로드하면서
지속적으로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툴이다.
참고한 사이트 : Jenkins 이해하기
빌드란? 그리고 Jenkins(젠킨스)란? 써야 하는 이유
빌드란? 그리고 Jenkins(젠킨스)란? 써야 하는 이유 서버에 기능을 추가 하려면 개발자가 개발자 노트북에서 개발을 하고 테스트까지 한 다음에 이상이 없으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수정된 내
krksap.tistory.com
Jenkins Image 받기
Jenkins Image 파일 만들기
mkdir -p /app/jenkins
chmod 777 /app/jenkins
만약 권한 문제가 생긴다면 앞에 sudo를 붙여 코드를 실행하자.
Jenkins Image 이미지 다운로드
sudo docker pull jenkins/jenkins:lts
Jenkins 구동
sudo docker run -d -p 8080:8080 -v /app/jenkins:/var/jenkins_home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u root <docker IMAGE>
생성된 Image와 Container
웹 브라우저에서 설치 이어가기
localhost:8080에 접속하기
위와 같은 명령어들을 입력한 다음 Jenkins의 password를 알아낸다.
Install sugeted plugins에 접속해서 설치를하고, Progress bar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 다음 Admin계정을 생성하고 URL까지 설정해주고 나면 Jenkins의 설치가 끝이난다.
모든 설정이 끝난 모습
참고한 사이트 : Jenkins Image 설치
Jenkins를 이용해 Docker프로젝트 빌드해보기
본 포스팅은 동빈나 님의 Docker 활용 및 배포 자동화 실전 초급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Jenkins를 이용해서 배포자동화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즉, 다시말해 소스코드를 GitHub에 푸시하는 것
velog.io
'Kubernete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compose로 여러 개의 서비스 구동하기 (0) | 2020.07.10 |
---|---|
Docker를 이용한 Tomcat Image pull & run (0) | 2020.07.10 |
Docker를 이용한 Nexus Image pull & run (0) | 2020.07.10 |
Docker를 이용한 MariaDB Image pull & run (0) | 2020.07.10 |
Docker 컨테이너들을 Kubernetes를 이용해 오케스트레이션하기 (0) | 202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