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수
현수 세상
정현수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267)
    • NEXTSTEP 자바스크립트 클린코드 2기 (1)
    • 우테코 4기 (6)
    • 회고록 (5)
    • 개발지식 (6)
    • React (3)
      • React Clone Coding (3)
    • React Native (2)
    • Kubernetes & Docker (36)
      • 궁금한 것 (13)
    • Flutter (2)
    • 알고리즘 (168)
      • 프로그래머스 1단계 (27)
      • 프로그래머스 2단계 (37)
      • 백준 (98)
      • 이론 (6)
    • 자료구조 (3)
    • 유튜브 (1)
    • 책 읽자 (1)
    • 취업준비 (1)
    • 대내 활동 (31)
      • 2022년 겨울방학 알고리즘 특강 (0)
      • 2020년 여름방학 모각코 (13)
      • 2020년 겨울방학 모각코 (13)
      • 웹프로그래밍 상상튜터링 (5)

인기 글

최근 글

공지사항

  • 블로그 이동

태그

  • NodePort
  • programmers
  • javascript
  • image pull
  • Jenkins
  • 이코테
  • Kubernetes
  • 프로그래머스
  • Deployment
  • 개발지식
  • 백준
  • 디플로이먼트
  • 그리디
  • 노드
  • docker
  • 모각코
  • image run
  • 쿠버네티스
  • flutter
  • 리액트
  • 파이썬
  • React
  • 레플리카셋
  • 공식문서
  • 알고리즘
  • mysql
  • 자바스크립트
  • kubelet
  • 우테코
  • replicaset

최근 댓글

블로그 메뉴

  • 홈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정현수

현수 세상

Docker를 이용한 Tomcat Image pull & run
Kubernetes & Docker

Docker를 이용한 Tomcat Image pull & run

2020. 7. 10. 17:14
반응형

Tomcat

Apache에 대한 이해아파치는 오픈소스 라이센스에 따라 배포된 HTTP 웹 서버이다.
웹 서버라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고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아파치는 정적인 데이터밖에 처리하지 못한다(HTML, CSS, 이미지 등등등..)

Tomcat에 대한 이해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WAS(Web Aplication Server)이다.
톰캣은 웹 서버가 아닌 웹 컨테이너에서 클라이언트(고객)의 요청이 있을 때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내고
이것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보통 톰캣이라고 부르지않고 아파치 톰캣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웹 서버와 웹 컨테이너의 결합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정적인 데이터(HTML, CSS..)를 처리하는 서버는 웹 서버가 담당하고
동적인 데이터(PHP, DB연결, 데이터 조작..)를 처리하는 서버는 웹 컨테이너가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참고 사이트 : 아파치 톰캣의 차이

 

아파치와 톰캣의 차이

보통 우리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웹 페이지를 띄워서 정보를 검색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즐긴다. 예를 들어 내가 유투브에서 동영상이 보고 싶다면, 웹 브라우저(크롬, 파이어폭스, IE)에서 유투��

limmmee.tistory.com

Tomcat Image pull

우선 dockerHub에서 Tomcat에 들어가서 pull 명령어를 알아낸다.

 

현재 가지고 있는 image들은 전에 받아온 jenkins와 nexus에 대한 이미지밖에없다.
이제 tomcat을 가져와보자.

 

docker pull tomcat:latest

명령어를 통해 tomcat image를 가져오고

docker images

명령어를 통해 이미지들을 확인해본 결과 잘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포트번호는 8082를 입력하면 8080에 맵핑되도록 해주었다.

docker run -d -p 8082:8080 -v /app/tomcat:/usr/local/tomcat/logs tomcat

 

docker run -d --name [만들 컨테이너 명] -p [외부포트]:[도커 내부포트] -v [지정할 호스트 경로]:[컨테이너 내 지정 경로] [이미지 id 혹은 이름] 으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localhost:8082를 입력하면

 

아파치 톰캣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한 사이트 : Docker volume 활용하여 Tomcat 로그 저장, docker hub

 

tomcat Tags - Docker Hub

 

hub.docker.com

 

Docker #7. Docker Volume 활용하여 Tomcat 로그 저장하기

톰캣을 도커 컨테이너로 운영하게 되면 방대한 로그의 양 때문에 컨테이너의 용량이 매우 커지게 된다. Docker의 데이터 경로를 별도로 설정해 주었다고 해도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로그파일도 함

zunoxi.tistory.com

 

반응형

'Kubernete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파헤치기 : 개요  (0) 2020.07.15
Docker-compose로 여러 개의 서비스 구동하기  (0) 2020.07.10
Docker를 이용한 Nexus Image pull & run  (0) 2020.07.10
Docker를 이용한 MariaDB Image pull & run  (0) 2020.07.10
Docker를 이용한 Jenkins Image pull & run  (0) 2020.07.10
    정현수
    정현수
    깃허브 : https://github.com/junghyeonsu 개인 블로그 : https://junghyeonsu.com/ (양질의 글을 올리려고 항상 노력합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