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 Docker/궁금한 것

쿠버네티스 minikube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나오는 kubelet, apiserver,kubeconfig에 대해서

정현수 2020. 7. 17. 08:45
반응형

※주의

이 글은 제가 혼자 공부하면서 여기저기 찾아보고 정리하는 곳이라서

글의 퀄리티나 내용상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공식문서가 더욱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궁금점

minikube status

를 입력했을 때 나오는

type, host, kubelet, apiserver, kubeconfig들은 각각 무엇을 의미할까?


행동

맨 처음 나오는 minikubecluster의 이름을 의미한다. 

kubelet

kubelet은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로

파드에서 컨테이너가 확실하게 동작하도록 관리한다.

kubelet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뜻이다.

apiserver

apiserver는 쿠버네티스 API를 노출하는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 컴포넌트이다.

API 서버는 작업 상태를 정의하고 조회할 수 있는 RESTful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의 모든 요청과 응답은 apiserver를 통해서 진행된다.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을 때 Running의 상태를 표기한다. 

kubeconfig

kubeconfig 파일은 클러스터에 대한 접근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이다.

(파일 이름이 kubeconfig 라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kubectl은 $HOME/.kube 디렉터리에서 config라는 이름의 파일을 찾는데

잘 찾아진 파일로 부터 클러스터에 대한 접근을 구성이 완료가 되었으면

configured라는 상태 메세지가 뜬다.

 

혹시 host와 type의 정확한 의미를 아시는 분 계신가요?..ㅜ


참고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components/#kube-apiserver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컴퓨터 집합인 노드 컴포넌트와 컨트롤 플레인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kubernetes.io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configuration/organize-cluster-access-kubeconfig/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접근 구성하기

kubeconfig 파일들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및 인증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자.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은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의 선택과 클러스터의 API 서버

kubernetes.i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