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ockerfile에 대한 공부
2. 깃허브 브랜치에 대한 이해
Dockerfile 설명
설명드리겠습니다.
FROM node:10.19.0
맨 처음에는 FROM으로 시작합니다.
우리는 node version 10.19.0 으로 된 이미지를 만들고 싶다는 얘기입니다.
제 node -v이 10.19.0이라서 설정해주었습니다.
WORKDIR /app
work directory를 /app에 잡겠다는 얘기입니다.
이건 컨테이너 안에서의 폴더를 얘기합니다.
COPY . .
COPY <local folder> <container folder> 를 얘기합니다.
둘 다 현재위치를 의미하는데
local folder는 Dockerfile이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가리키고
container folder는 WORKDIR로 설정해준 /app 폴더를 가리킵니다.
RUN yarn install
/app폴더에서 yarn install 명령어를 실행하겠다는 겁니다.
WORKDIR /app/client
컨테이너안에서의 work directory를 변경해줍니다.
RUN npm install --silent
package.json 파일에 적힌 dependecies 파일들을 설치하겠다는 얘기입니다.
요기서는 client의 package.json을 말합니다.
RUN npm install react-scripts@3.4.1 -g --silent
react-scripts가 설치가 잘 안되는 것 같아서 따로 설치를 해주었습니다.
WORKDIR /app/server
컨테이너의 work directory를 /app/server로 옮깁니다.
RUN npm install --silent
/server 폴더에서의 package.json dependecies들을 설치하겠다는 얘기입니다.
EXPOSE 3000
Port는 3000번으로 노출하겠다 라는 얘기입니다.
WORKDIR /app
CMD ["yarn", "dev"]
우리는 메인폴더에서 yarn dev 명령어를 실행해야 하므로
work directory를 /app (메인폴더)로 옮기고
yarn dev 명령어를 실행시켜주는 명령어입니다.
2. 바텀업 깃허브 파일 구조 변경 및 브랜치에 대한 이해
각자 팀원들의 브랜치로 이름명으로 가지를 치고
dev에 통합을 한 다음에 전부 확인이 되면
배포가능한 버전을 master에 푸시하는 방식으로 진행
'대내 활동 > 2020년 여름방학 모각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각코 8월 1일 종료 (0) | 2020.08.01 |
---|---|
모각코 8월 1일 시작 계획 (0) | 2020.08.01 |
7월 25일 모각코 시작계획 (0) | 2020.07.25 |
7월 18일 모각코 종료 (0) | 2020.07.18 |
7월 18일 모각코 목표 (0) | 2020.07.18 |